최근 출산율 감소가 심각한 사회 문제로 떠오르고 있습니다. 특히, 둘째아 이상 출산율이 급격히 줄어들면서 초저출생 문제가 더욱 심화되고 있습니다. 2023년 기준 전체 출생아 수는 23만 명으로, 10년 전인 2013년과 비교했을 때 47%가 감소했습니다. 더욱 심각한 점은 둘째아 이상 출산율은 57%나 줄어들었다는 것입니다.
이에 정부는 다자녀 혜택을 기존 3자녀 이상 가정에서 2자녀 가정까지 확대하고 있습니다. 주거, 교통, 교육, 세금 감면 등 다양한 분야에서 두 자녀 가정이 누릴 수 있는 혜택이 많아졌습니다. 이번 글에서는 2025년도 기준 두 자녀 가정이 받을 수 있는 주요 혜택을 한눈에 정리해보겠습니다.
🔹 다자녀 가구란?
과거에는 "다자녀 가구"가 보통 세 자녀 이상을 둔 가정을 의미했지만, 저출산 문제가 심화되면서 정부 및 지방자치단체에서 다자녀 지원 기준을 **"두 자녀 이상"**으로 완화하는 추세입니다.
다만, 각 정책이나 지자체별로 기준이 다를 수 있으므로 지원 요건을 반드시 확인해야 합니다.
📌 법령에 따른 다자녀 가구의 정의
- 「지방세특례제한법」 제22조의2제1항
- "18세 미만의 자녀 2명 이상을 양육하는 자"를 "다자녀 양육자"로 정의
- 양자 및 배우자의 자녀를 포함하며, 입양된 자녀는 친생부모의 자녀 수에 포함되지 않음
- 「영유아보육법 시행규칙」 제29조제3항제4호
- 자녀가 2명 이상인 가구의 영유아는 어린이집 우선 입소 가능
- 「공공주택특별법 시행규칙」 별표 4
- 미성년 자녀 2명 이상 (태아 포함) 또는 조부모와 손자녀로만 구성된 가구는 국민임대주택 및 장기전세주택 우선 공급 대상
🚗 교통 및 공공시설 할인 혜택
✅ 남산터널 혼잡통행료 면제
- 일반 차량: 2,000원
- 두 자녀 이상 가정: 0원(무료)
✅ 공영주차장·한강공원 주차장 할인
- 기존 요금: 4,000원
- 두 자녀 이상 가정: 2,000원(50% 할인)
- 서울시는 '바로녹색결제' 등록 시 자동 감면 (🔗 oksign.seoul.go.kr)
✅ 뚝섬한강공원 눈썰매장 입장료 할인
- 기존 요금: 1인 6,000원
- 두 자녀 이상 가정: 3,000원(50% 할인)
✅ KTX·SRT 다자녀 할인 (최대 30%)
- 서울→오송 기준 (성인 1인): 18,500원 → 12,950원
- 4인가족 (2자녀 포함): 46,200원 → 35,100원
✅ 국립세종수목원 등 국립수목원 입장료 무료
- 두 자녀 이상 가정은 입장료 무료
- 각 지자체 다둥이 카드, 주민등록등본으로 증빙 가능
🏠 주거 및 금융 혜택
✅ 주택 특별공급 확대
- 미성년 자녀 2명 이상 가구: 무주택자라면 국민주택 특별공급 우선순위 적용
- 신청: 🔗 청약홈
✅ 주택구입자금 대출 우대
- 2자녀 이상 가구: 보금자리론 금리 우대 (최대 0.7%p 감면)
✅ 전세자금 대출 한도 확대
- 2자녀 이상 가구: 수도권 최대 6,000만 원, 지방 최대 5,000만 원까지 추가 대출 가능
👶 양육 및 교육 지원
✅ 어린이집 우선 입소권
- 두 자녀 가정: 어린이집·유치원 입소 시 우선 배정 대상
✅ 아이돌봄서비스 우선 지원
- 36개월 이하 자녀를 둔 가정 돌봄서비스 우선 지원
- 신청: 🔗 아이돌봄서비스
✅ 국립자연휴양림 우선예약권 도입
- 다자녀 가정: 국립자연휴양림 숙박시설 우선 예약 가능
✅ 일반고 배정 시 형제·자매 동일학교 배정 우선권
- 두 자녀 이상 가구: 자녀가 각각 다른 학교로 배정되지 않도록 우선 배정 고려
💰 세금 감면 및 연금 혜택
✅ 연말정산 세액공제 확대
- 첫째아: 기존 15만 원 → 25만 원
- 둘째아: 기존 20만 원 → 30만 원
- 셋째아: 기존 30만 원 → 40만 원
✅ 자동차 취득세 감면 (2027년까지 연장)
- 두 자녀 가구:
- 승용차 (7~10인승) 취득세 50% 감면
- 그외 승용차: 140만 원 초과 시 최대 70만 원 감면
✅ 국민연금 출산 크레딧 도입
- 둘째아 이상 출산 시: 국민연금 가입 기간 12개월 추가 인정
📌 다자녀 가정 카드 발급 및 추가 혜택
✅ 서울시 다둥이 행복카드
- 대상: 서울시 거주 2자녀 이상 가정 (막내 18세 이하)
- 발급: 신용·체크카드형 또는 신분 확인용 카드
- 신청: '서울지갑' 앱에서 발급 가능
✅ 경기아이플러스카드
- 발급처: 농협 영업점
- 혜택: 대중교통 할인, 쇼핑·문화시설 할인 제공
✅ K-패스 다자녀 혜택 신설
- 두 자녀 이상 가정: 월 15회 이상 대중교통 이용 시 30% 환급
📢 결론: 두 자녀 가정도 다자녀 혜택을 적극 활용하자!
정부는 초저출생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다자녀 혜택을 두 자녀 가정에도 확대하고 있다. 이제는 주택, 교통, 양육, 세금 등 다양한 분야에서 두 자녀 가정도 충분한 지원을 받을 수 있는 시대다.
✅ 주거 지원: 국민주택 특별공급, 전세자금 대출 확대
✅ 교통 혜택: KTX·SRT 할인, 공영주차장·혼잡통행료 면제
✅ 교육 및 양육: 어린이집 우선 입소, 국립자연휴양림 우선예약
✅ 세금 감면: 연말정산 공제 확대, 자동차 취득세 감면
💡 각종 혜택을 적극 활용하면 연간 수백만 원의 절약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! 지자체와 기관별 세부 정책을 확인하고 꼼꼼하게 챙겨 활용하세요!
🔗 추가 정보 확인하기
📌 법제처 생활법령정보
법제처 생활법령정보
📌 아이사랑 (보육지원)
아이사랑 (보육지원)
📌 청약홈 (주거지원)